반응형 전체 글208 개인사업자 세금 종류 개인사업자가 부담하게 되는 세금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세금의 종류를 알기전에 일반사업자와 간이사업자 차이를 아셔야합니다. 개인사업자는 업종/ 매출액에 따라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로 구분합니다. 주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업종으로 연간 매출액이 4,800만원 이상 8,000만원 미만 미만인 소규모사업자의 경우에 간이사업자에 해당하며, 그 외의 개인사업자 모두는 일반과세자입니다.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는 부가가치세에서만 차이가 있고 소득세, 원천세 등에서는 차이가 없습니다. 1. 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는 쉽게 말해, 물건을 살 때 내야 하는 10%의 세금, 물건을 팔 때 받는 10%의 세금입니다. 사업에 필요한 물건을 살 때, 그리고 고객에게 물건을 팔 때 발생합니다. 일반과세자일 때는 ‘매출세액 - .. 2024. 2. 2. 다주택자 중과세 완화(1.10 주택공급 확대 대책, 윤석열 대통령) 2024년 1월10일 주택공급 확대 및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추진 배경으로는 늘어나는 1인 가구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주택을 공급하고 주택건설사업 침체를 막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발표 주요내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위 대책 중 개인 투자자나 주택 실수요자에게 가장 관심을 끄는 내용이 주택공급의 확대 내용입니다. 문재인 정부시절 부터 주택 매수나 보유시 중과세 등의 규제가 있었는데 조금씩 완화하는 내용들이 담겨있습니다. 소형 주택의 구입 부담을 줄이고 과거 운영되던 민간등록임대주택 제도도 다시 활성화하는 내용입니다. 개인이 소형 신축주택(아파트 제외) 취득시 각종 세금 납부시 주택수에서 제외를 하고, 기존 주택(아파트 제외)은 구입해서 임대등록을 하는 경우 세금 중.. 2024. 2. 1. 전세사기 지원대책 활용하세요(전세사기 상담센터) 요즘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전세사기 피해 보시는 분 많으실텐데 정부에서 빠르고 쉽게 지원을 한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전세사기 피해자가 금융, 법률, 세금 다 따로 알아보고 준비를 했어야 했는데, 이번에 피해자들을 더욱 적극적으로 돕기 위해 모든 과정을 통합하고 지원대책을 더 강화 했다고 합니다. (경공매)는 법원, 세무서 (조세채권)은 세무서, 지자체 (우선매수청구)는 LH를 방문했어야 했는데 이제는 전세피해지원센터나 경공매지원센터에서 상담 받고 신청서류를 작성하면 일괄로 신청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이사시 대출 등을 지원 받기 위해 KB국민은행 특화지점으로 안내 받아 금융 지원에 대해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피해 주택 경공매시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곳을 정리한 표인데요. 보시는 .. 2024. 2. 1. [연말정산] 절세 꿀팁 한해가 마무리 될때쯤이면 정리해야 할게 많지만 연말정산도 꼭 신경써서 챙기셔야 합니다. 조금만 신경쓰면 절세될부분이 많이 있는데 그 중에 꼭 필요한 사항 안내드리겠습니다 1. 신용카드 활용한 절세 신용카드 사용액은 올해 총 급여액의 25%를 초과해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맞벌이 부부가 각자 신용카드를 써 왔지만, 각자 사용 금액이 본인 총 급여액의 25%가 넘지 않으면 두 명 모두 공제 받을 수 없습니다. 그러니 남은 한 달 동안은 어느 한 명이라도 25%를 넘길 수 있도록 몰아 쓰는 게 좋습니다. 신용카드 사용 금액을 보고 누구 카드로 몰아 쓰는 게 유리한 지 결정하시면 됩니다. 만약 신용카드 사용액이 25%를 거뜬히 넘는다면 올해 남은 한 달은 체크카드나 현금 위주로 사용하는게 유리합니.. 2024. 2. 1. [보유단계] 종합부동산세 개요 종합부동산세는 재산세와 같이 매년 6월1일 기준으로 국내에 있는 재산세 과세대상인 주택 또는 토지의 공시가격 합계액이 과세기준금액을 초과하는 분에 대해서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종합부동산세 대상 상세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정리하자면 1차로 부동산 소재지 관할 시군구(지자체)에서 관내 부동산을 과세유형별로 구분하여 재산세를 내고 2차로 과세기준금액 초과분에 대하여 관할세무서(국가)에서 종합부동산세로 납부 합니다. → 과세기준일 : 매년 6월 1일 → 납부기간 : 매년 12월 1일 ~ 12월 15일 → 분납 : 납부할 세액이 250만원 초과(농특세 제외)시 납부기한 경과일로부터 6개월 이내 ※ 250만원 초과 500만원 미만 : 250만원 초과금액, 500만원 초과 : 50%이하 금액 → 신용카드 납부.. 2024. 2. 1.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반응형